[분석] 월광보합 분석: 가정용 오락실의 시작
월광보합 이란?
20년대부터 혜성같이 출몰한 가정용 게임기로
분리형, 일체형, 무선형, 유선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이 기기는 HDMI로 티비에 연결만해서 바로 게임할 수 있는 기종이고
바탑형, 게임기형태 등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건 다음 글에
2025.01.05 - [게임] - [리뷰] 가정용 게임기 종류

구입 금액대
처음 이걸 봤을때 조이스틱만 파는 건가? 게임은 어디에 있지?
혼란스러웠다. 철권을 하기위한 메이크 스틱이나 권바드론도
5만 원~10만 원 돈에 판매하기 때문에
게임까지 주는데 조이스틱까지..!!
충격을 금치 못했다.
(CD플레이어를 쓰던중 MP3를 본 느낌. 처음엔 그냥 리모컨에 선끼우고 다니는줄...)
일반적은 제품은 우리들의 영원한 친구 당근마켓에서 5~10만 원에 자주 거래된다.
(글쓴이는 수시로 눈팅하여 4만원에 거래하였다)
구성
내부를 자세히 보면
생각보다 간단하다.
게임 구동을 위한 보드, 조이스틱, 스피커
일반적인 조이스틱+보드에서 게임 보드만 추가되었다고 보면 된다.
뒷면
출력 단자와 usb 단자가 있고 세팅 버튼이 있음
조이스틱은 2인용 이지만
추가적으로 조이스틱을 연결하면 4피까지 가능
(던전앤드래곤, 삼국지 같은 4인용일때 이므로 저가 패드면 충분할듯)
작동 메커니즘
대부분 리눅스방식을 사용하여
윈도우에서는 잘 열리지 않는다
※ 윈도우에서 수정, 추가를 하고싶다면
안드로이드 기반 레트로아크를 찾아보자
sd카드를 부팅디스크로 예물레이터를 실행시켜
롬을 가동하는 방식.그러므로 게임롬은 구글링하거나 토렌트로 받아서 넣으면 사용가능!!
(저작권의 특성상 명백한 불법이지만... 제조사 대부분이 망해서 권리주장이 힘들기도하고... 오래되서 애매함)
성능
저렴한(?) 가격 만큼 아주 어릴적 했던 캐딜락, 메탈, 보글보글 등의
2D류 게임
딱 거기까지 사용가능
철권 6,7이 된다고 하지만,
PSP에 있던 것 기반이라
오락실에 있던 게임을 기대했다면 실망할듯
(버벅거림... 잔렉 발목 자주 돌아감 등...)
(그도 그런것이 스팀에서 4만~7만하는 게임이 5~10만원하는 게임기에 들어있다는게
말이... 안되는...)
구동 가능한 예물레이터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GB, 슈퍼패미콤, PSP 등 이 부분은 추후에 다른글에서 설명

우리가 재미있게 했던 철권 태그 등의 3D(?)는 구동하지 못함
이 또한 다른 글에서 설명
장점
역시 가격과 쉬운 접근성
당근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와이프한테 등짝맞을 고민하지 않고)
HDMI만 티비에 꽂으면 바로 게임할 수 있다.
당근가 5만~7만선
단점
성능이 낮다
고전게임하면 아무래도 철권 태그가 먼저 떠오를테지만
앞에서 말했듯 이건 하기 힘듦
게임이 너무 많다
10000개, 5000개 다양한 게임이 있다고 선전을 하지만,
실질적으로 유효한 게임은 몇개 없다...
(갤러그 하겠냐고오)
그래서 하나하나 찾아가며 즐겨찾기를 해야함
(물론 검색기능이 있지만 불-편)
필터링의 필요성이...
생각보다 크다
티비 앞에 두거나 컴퓨터 책상 앞에 둘텐데
단순히 2d게임하려고 쓰기에는 걸리적거림...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발밑에 있는 조이스틱이 신경쓰이는중...
킹오브 같은 대전게임의 경우 조이스틱이 필요하지만 그 외의 게임은
일반 패드같은 휴대용으로 대체해도 충분할것 같다.
(삼국지, 보글보글을 굳이...?)
[요약] 월광보합
가격: 5~10
(당근에서 사세용)
성능: 2D나 간단한 3D까지
(철권 태그는 안됌)
형태: 간단하게 HDMI만 꽂으면 바로 게임시작가능 3,4P는 USB로 유/무선 조이스틱 사용
용도: 삼국지, 보글보글, 메탈슬러그 같이 간편하게 2~4인용 할 사람들 추천